일명 '사과병'으로 불리는 전염성 홍반 역시 유행하고 있어 비상이 걸린 상황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일본의 급박한 감염병 현황을 알아보고, 백일해와 전염성 홍반의 증상 및 예방 수칙, 그리고 우리 모두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실천 방안까지 알아보겠습니다.
▪ 일본 감염병 비상, 백일해와 사과병 확산
└ 사상 최다 기록, 일본 백일해
└ 전염성 홍반, 일명 사과병도 유행
▪ 백일해와 전염성 홍반(사과병)의 증상과 위험성
└ 백일해, 백일 가는 기침의 공포
└ 사과병, 임산부는 특히 조심해야
▪ 감염병 예방 및 대처를 위한 실천 방안
└ 예방접종의 중요성
└ 개인위생 수칙 철저히 지키기
└ 증상 발생 시 조기 진단 및 격리
▪ 국내 백일해 현황 및 주의사항
▪ 감염병 예방을 위한 핵심 요약
일본에서 백일해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6월 셋째 주에만 3,211명이 발생해 주간 기준 역대 최다를 기록했으며, 올해 누적 환자는 3만 5,810명으로 작년보다 8배, 2019년보다 2배 이상 많습니다.
코로나19 이후 감소했던 백일해는 2024년부터 다시 급증하는 추세입니다.
일본에서 전염성 홍반(사과병)이 빠르게 퍼지고 있습니다.
전국 소아과 의료기관당 평균 환자 수는 2.53명으로, 1999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질환은 감기와 유사한 초기 증상 후 양 볼에 붉은 발진이 나타나는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주로 2세~15세 어린이에게 발생합니다. 특히 임산부가 감염되면 유산이나 사산 위험이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백일해는 감염자의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전파되는 세균성 호흡기 질환으로, 기침이 100일 넘게 지속될 수 있습니다.
평균 7~10일 잠복기 후 감기처럼 시작되지만, 격렬한 기침과 구토가 2주 이상 이어집니다. 전 연령층에서 감염될 수 있으나, 특히 20세 미만 영유아와 청소년에게 많이 발생하며, 영유아의 경우 심각한 합병증이나 사망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전염성 홍반(사과병)은 파르보바이러스 B19에 의해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양 볼에 붉은 발진이 특징입니다.
초기에는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며, 성인에게는 관절통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임산부가 전염성 홍반에 감염되면 태아에게 심각한 빈혈을 유발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유산이나 사산으로 이어질 위험도 있습니다. 따라서 임산부나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은 사과병이 유행할 때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찾아야 합니다.
백일해는 예방접종으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어린이뿐 아니라 성인도 면역 유지를 위해 추가 접종이 필요하며, 특히 아이를 돌보는 직업군이나 임산부, 보호자는 반드시 접종에 참여해야 합니다.
질병관리청의 지원으로 무료 접종이 가능하니, 기록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꼭 접종을 완료하세요.
감염병 예방의 기본은 철저한 개인위생입니다.
비누로 30초 이상 손을 씻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손 씻기 어려울 때는 손 소독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기침이나 재채기할 때는 휴지나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리는 기침 예절을 지켜야 합니다.
- 외출 후, 식사 전후, 화장실 사용 후 등 수시로 손 씻기
- 기침 시 옷소매로 입과 코 가리기 (휴지가 없을 경우)
- 사람 많은 곳에서는 마스크 착용 고려
- 정기적인 환기로 실내 공기 질 관리
백일해나 전염성 홍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찾아 조기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감염 확산을 막고 빠른 치료를 위해 꼭 필요하며, 특히 전염성이 강한 백일해는 격리 조치가 필수입니다.
어린이집이나 학교 같은 단체생활 공간에서는 더욱 신속하고 철저한 대응이 요구됩니다.
국내 백일해 환자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3년 292명이던 환자 수가 지난해에는 48,048명으로 164배 이상 폭증했으며, 국내 첫 사망 사례도 발생했습니다.
우리도 백일해 등 호흡기 감염병 예방에 더욱 철저히 대비해야 합니다.
백일해와 전염성 홍반 같은 감염병은 일상에 위협이 될 수 있지만, 예방 수칙을 잘 지키고 신속하게 대응하면 극복할 수 있습니다.
예방 항목 | 핵심 실천 내용 | 주요 대상 |
---|---|---|
예방접종 | 권장 시기 맞춰 접종 완료 및 추가 접종 고려 | 영유아, 어린이, 청소년, 성인 (특히 고위험군) |
개인위생 | 손 씻기, 기침 예절, 마스크 착용 (필요시) | 모든 연령 |
환경 관리 | 정기적인 환기, 청결 유지 | 모든 연령 |
조기 진단 및 격리 | 증상 발생 즉시 의료기관 방문 및 타인 접촉 최소화 | 모든 연령 |
영유아 및 임산부 주의 | 합병증 위험이 높으므로 더욱 각별한 주의 필요 | 영유아, 임산부 |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kg 감량 노홍철 다이어트 성공 허리 통증까지 사라진 비밀 (1) | 2025.07.03 |
---|---|
아기 피부에 붉은 점? '혈관종' 10년 새 두 배 증가, 원인과 치료법 (2) | 2025.07.02 |
오연서 다이어트, 16시간 공복으로 살 안 찌는 비결 (1) | 2025.07.02 |
이이경 달걀 8개 섭취 위험? 요산 수치와 통풍 (1) | 2025.07.01 |
14kg 감량! 박나래 다이어트 & 건강한 체중 관리 (2) | 2025.07.01 |